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순자본 규칙을 개정, 증권사와 파생상품 브로커가 디지털자산 거래지원을 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최근 태국 증권거래소, 선물거래소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증권사, 파생상품 브로커의 유사 시 유동성 관리 필요성이 대두됐기 때문이다. 순자본 규칙 개정으로 암호화폐 거래소 등 신규 사업 진출을 계획하는 현지 증권사들이 보다 수월하게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부 증권사는 암호화폐 거래소 론칭을 위해 SEC와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털 자산은 자본금으로 간주된다. 또한 새 규칙은 증권사가 고객 대신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는 경우 콜드월렛에 1% 이상의 자금을, 핫월렛 등 기타 시스템에 고객 자금의 5% 이상을 보관하도록 규정한다.
[일본 30개 대기업 참여 민간 디지털 화폐 2022년 발행]
오는 2022년 일본에서 다수의 대기업이 참여하는 민간 디지털 화폐가 발행될 예정이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현지 대형은행 3곳과 이동통신사 NTT 그룹 등 30여개 기업이 참여해 발행하는 민간 디지털 화폐가 오는 2022년 출시, 실제 사용에 투입될 예정이다. 해당 디지털 화폐는 스마트폰 등 기기를 통해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기존 전자 화폐와의 교환도 지원된다. 동시에 기업 간 대규모 대금 청산 및 결제에도 사용될 전망이다. 30여개 참여 기업은 오는 2021년부터 대규모 테스트 사용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1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이 “2020년 BTC 급등 현상은 2017년 당시와는 다르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최근 BTC가 2017년 당시 고점을 향해 달려가는 가운데, BTC의 불안정성 및 거품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전문가들이 ‘2020년은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로이터는 메사리(Messari)의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 CEO의 발언을 인용, “2017년과 달리, 지금의 BTC에게는 탄탄한 파생상품 시장과 유명 금융기관의 신탁 관리 서비스가 있다”며 “이러한 인프라를 통해 헤지펀드부터 일반 사무실까지 모든 투자자가 더욱 쉽게 암호화폐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日 암호화폐 거래소 리퀴드, 해킹 공격...이용자 데이터 노출]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리퀴드 운영사 쿠오인의 공동 창업자 마이크 카야모리(Mike Kayamori)가 공식 채널을 통해 “리퀴드 거래소가 지난 13일 해킹 공격에 노출됐다”고 말했다. 그는 “해커는 DNS 기록을 변경하고 내부 이메일 계정을 장악했다. 거래소 인프라에 공격을 진행, 일부를 손상시키고 내부 문건에 접근했다. 다수 이용자 메일 주소, 성명, 비밀번호 등 개인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 다수를 해커가 이미 확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거래소 측은 해킹 정황 파악 후 바로 차단 조치에 나섰으며 해커를 추적하고 있다. 고객 자금을 비롯해 콜드월렛 등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말했다.
[두바이 IBC 그룹, ETH 2.0에 1000만 달러 투자]
트레이드아라비아에 따르면 두바이 IBC 그룹이 곧 론칭될 ETH 2.0에 1000만 달러(약 2만 ETH 스테이킹)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캐나다 소재 ETH 홀더 대상 기관급 스테이킹 서비스사 CanETH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이뤄진다. IBC 그룹 회장 Khurram Shroff는 "ETH 2.0 스마트 컨트랙트, PoS(지분증명) 컨셉이 훌륭하다"고 전했다.
18일(현지시간) 기업형 블록체인 컨소시엄 R3의 영국 자회사가 “지난해 1,960만 파운드(약 287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다”며 “그러나 현금흐름은 양호한 편”이라고 밝혔다. R3의 커뮤니케이션 책임자인 찰리 쿠퍼(Charley Cooper)는 이와 관련 “거시적 관점으로 볼때 R3의 현금 흐름은 매우 좋은 편”이라며 “전반적으로 부채를 걱정할 단계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뉴욕에 본사를 둔 R3 모회사는 비상장 기업으로, 연간 실적을 보고하지 않는다.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비트페이가 딜로이트가 선정한 500대 테크 기업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비트페이의 순위는 341위로, 이는 이미지 기반 SNS 플랫폼 핀터레스트보다 높은 순위다.
토큰포스트 | info@tokenpost.kr